2023년이 지나면 한국을 떠나 다른 나라에서 정착해야 되는 상황이라 한국어 교원 자격증이 필요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막연하게 혹시 모를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 도전해 보았지만, 평소에 일을 하면서 14주 동안 수업과 중간고사 그리고 리포트 제출기간, 마지막으로 기말고사까지 상상했던 것보다는 신경 쓸 부분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을 준비하기 위한 총 11과목 중 1학기가 끝나가는 시점에서 14주 동안의 과정 후기를 남겨보려고 합니다.
목차(INDEX)
한국여 교원 자격증을 처음 알아보고 준비했던 과정이 알고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먼저 참고해 주세요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 학점 은행제 / 진흥 원격 평생 교육원
지난번 교원자격증이 무엇인지? 획득하는 방법 등 관련된 내용을 이전에 포스팅해 보았었습니다. 온라인 강의 비용도 포함된 내용으로 작성하였으니 교원자격증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라면
it-life-on.tistory.com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과정 요약
저의 경우는, 하반기에 수업을 듣기 시작했기에 이론수업의 경우 1학기때 8과목, 2학기에 나머지 3과목을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총 11과목을 수강하여야 합니다. 이론 수업이 마무리되면 본인 지역과 가까운 대학교에서 5개월간 토요일마다 5시간의 실습이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생각보다 쉬운 과정이 아님을 여기서부터 짐작하시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와 같이 외국에서 생활해야 되는 분들이라면 혹시 모를 미래를 위해 기간적인 수고스러움을 감수하면서도 획득해 놓을 만한 자격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이론 수업은 11개의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과정 진행순서
▶ 1주 ~ 7주
주까지는 온라인 강의를 들으면서 중간중간 등장하는 퀴즈를 풀거나 한 강의가 끝날 때마다 점검문제(3문제)가 나와서 교재를 찾아보면서 풀어 주시면 됩니다. 사실 이 과정은 컴퓨터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으신 분 들이거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직장을 다니면서 진행하기에도 크게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 중간고사(8주 차)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생각보다 벅찹니다. 8과목이라서 한 과목당 60분을 소요하게 됩니다. 주말에 시간이 있을 때 하루를 모두 소비한 기억이 있습니다.
인터넷을 검색해 볼 때는 몇몇 사람들은 시험을 치를 때 컴퓨터 2대를 사용해서 한 컴퓨터에서는 문제를 풀고 다른 컴퓨터에서는 교재 내용을 검색하여 답을 찾거나 이렇게 치험을 치르면 된다는 글도 보았습니다. 물론 저 역시 그렇게 하였고 어느 정도의 점수를 획득하였습니다. 하지만 한과목이 35점이라는 최하의 점수를 받은 부끄러운 경험이 있습니다. 솔직히 충격이었습니다. 이런 점수로 기말고사까지 진행했을 경우 수료할 수 있을까? 이런 걱정부터 되었습니다.
정리하자면, 컴퓨터 두대를 사용하여 담안을 검색하는 방법은 어느정도 효과가 있습니다만 교재에 나온 내용이 그대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 내용과 글자가 변경되어 나오기 때문에 단순 검색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시험이 있는 주간에는 필히 조금이나마 공부를 하시고 시험을 치르시길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 9주 ~ 14주
이 기간은 앞서 1주에서 7주처럼 온라인 강의를 켜놓거나 들으시면서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다만, 이 기간에는 엄청난 것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10주 차 정도가 되면 과제를 제출하는 공지를 만나시게 될 것입니다.
과제는 8과목 모두 작성하여야 하며, 과목마다 주제가 다르게 나옵니다.
저의 경우, 직장을 다니면서 주말에는 개인 약속까지 겹치면서 과제를 하는 정말 쉽지 않았습니다. 주말에는 한 과목의 과제를 하루정도 했었지만, 주중에는 한 과목의 과제를 2~3일 정도 소요되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강의는 강의대로 들어가면서, 과제는 더 시간 투자를 하셔서 작성해야 된다는 점에서 부담이 되었던 기간이었습니다.
▶ 기말고사(15주 차)
9주 ~ 14주 수업내용을 기준으로 중간고사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중간고사 때 강조를 해드린 것과 마찬가지로 컴퓨터 두 개를 활용하여 교재를 검색해도 되지만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시험범위의 내용을 시험 전에 조금은 공부를 하신 후 컴퓨터를 활용하여 시험을 치르시길 바랍니다.
3. 14주간의 수업 과정 후기
개인적으로 컴퓨터 관련 자격증을 여러 개 보유하고 있고, 컴퓨터 분야가 아닌 자격증도 공부해 본 경험이 있어서 한국어교원자격증 2급 또한 그 정도로 생각하여 도전을 시작하였습니다.
처음 마음과는 다르게 학점은행제도를 이용하기에 대학교 수업처럼 인강이 진행되며 중간고사, 과자제출, 기말고사까지 직장을 다니면서 제대로 공부하고 이수하는 것은 사실상 쉽지 않다. 아니 어렵다 정도로 느껴지고 있습니다.
이미 시작한 것이고, 내년 실기는 더욱 걱정되기도 하지만 마지막가지 열심히 해서 좋은 성과가 있도록 노력해보려 합니다. 저와 비슷하게 한국어 교원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서로 응원해 가며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고 수료하시길 바랍니다.
4. 과제 문의
이 부분은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과제를 하면서 진흥원격평생교육원에서 제공되는 교재들을 토대로 작성해야겠지만, 국립국어원이나 다른 논문 등을 찾아보면서 단순히 비슷한 내용을 따라 적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생각을 토대로 작성해야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구상하고 작성해야 된다는 것이겠지요.
인터넷에서 판매되는 과제들은 많이 오래된 자료들이거나 비슷한 과제들이 많이 존재해서 제가 작성한 과제를 판매해 보고자 마음먹었습니다. 필요하신 분이 있으시다면, 덧글로 남겨주시면 비밀댓글로 응대하겠습니다. 물론 가격은 과제를 판매하는 곳들보다 저렴할 것입니다. :)
'→ 지식나눔 > 자격증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cus on formS, focus on meaning과 비교 (0) | 2024.05.16 |
---|---|
한국어는 음운과 어휘 형태 통사적 층위 (0) | 2024.05.14 |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 학점 은행제 / 진흥 원격 평생 교육원 (6) | 2023.06.14 |
한국어 교원 자격증 준비 방법 (2) | 2023.05.23 |
부산 C언어 Java Python 컴퓨터 학원 추천 (0) | 2023.05.10 |
댓글